강아지우울증 원인과 증상에 대해
안녕하세요 두마리 집사입니다!
혹시 갑자기 반려동물이 힘이 없고 좋아하던 사료나 간식을 남기거나 장난감에도 별다른 반응이 없는 등
평소와 조금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나요?
그렇다면 강아지우울증을 의심해보셔야합니다
강아지가 우울증을? 그런 감정을 느낄 수 있냐는 것에 대해 의아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동물들도 사람처럼 무기력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단지 사람처럼 말로 표현을 할 수 없지만 행동으로 표현이 되기에 보호자님께서 주의 깊게 지켜보시며,
교감하여 다양한 감정변화를 알아차리셔야 합니다.
반려동물 중에서도 감정이 예민하고 섬세한 아이일수록 무기력증이 걸릴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이런 심리적인 문제는 강아지의 전반적인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데 신체적으로는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어 질병에 노출이 될 수 있고, 더 나아가 합병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그럼 강아지우울증은 왜 생기는 걸까요?
원인은 다양하지만 그중에서 외로움과 스트레스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합니다.
개들은 본능적으로 변화에 민감한편인데 갑작스러운 변화는 큰 스트레스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예시로 새집으로 이사를 가거나 새로운 가족이 생겼을 때, 집안의 가구 배치 등의 변화들은 사람에게는 큰 변화는 아니지만 동물에게는 아주 큰 변화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호자의 기분에도 영향을 받는데 견주가 스트레스나 슬픔을 느끼면 이를 감지하여 그 감정을 느끼며 공유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장시간 혼자 집에 있거나 산책을 나가지 못해 지루함을 느끼는 것 또한 우울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증상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무기력증입니다
기운이 없고 평소 좋아하던것들에 대해 별다른 반응이 없는 등의 모습을 보이는데
놀이나 활동에 대해 흥미를 잃고 무관심으로 응답을 한다면 무기력증이 왔다고 보시면 됩니다
두 번째로는 식사량입니다
평소 좋아하는 사료나 간식을 거부하고 소량만 먹는 경우가 많은데 심할 경우 체중 감소나 구토증상까지 보이기도 하죠
반대로 식욕이 더 많아지는 경우도 있는데 먹는걸로 스트레스를 풀듯이 폭식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음식에 대한 집착을 보이고 음식을 뺏으려고 할 때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며, 많아진 식욕으로 살이 급격히 찌거나 소화불량등의 신체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하셔야 합니다.
세 번째로는 수면패턴의 변화입니다
수면시간이 평소에 비해 크게 늘어나는 경우가 대표적인데
사람이 없는 장소로 가서 잠만 자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으며 무기력증을 동반하게 됩니다.
이와 반대로 불면증을 겪는 강아지들도 있는데
하루에 12~16시간정도 잠을 자는 강아지들과 달리 절반 정도만 잠을 자고 쉽게 깨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대로 된 휴식을 취하지 않으면 피로가 누적된 쉽게 예민해지고 성격 또한 신경질적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자신의 신체 특정 부위를 반복적으로 핥는 행동을 보일 수 있는데 심할 경우 자해까지 번질 수 있습니다.
옆구리, 꼬리, 발바닥 등을 심하게 핥고 깨물며 자해 행동을 보인다면 습진과 같은 피부병이 발생될 수 있으니 넥카라를 이용해하지 못하도록 해주셔야 합니다.
정서적인 불안과 스트레스가 지속되지 않도록 우울증을 완화시켜줘야하는데
특별히 어려운 것이 없고 평소보다 함께하는 시간을 늘리고 산책 등 규칙적인 행동과 긍정적인 보상을 자주 해주시면 쉽게 변할 수 있습니다.
함께 활동적으로 즐겁게 생활을 하며 칭찬과 보상을 주면서 생활 속 변화를 줄인다면 쉽게 극복이 가능하며, 여러 방법에도 호전이 되지 않을 경우 병원에서 약을 처방받는 것도 방법입니다.
미리 증상을 파악해 두시고 증상이 보일 시 잘 대처해 주신다면 치유가 가능하다고 하니 증상이 나타난다면 빠르게 대처해 주세요
뭐든 반려동물은 보호자의 대처가 가장 중요합니다.
항상 식습관, 행동 습관 등을 잘 관찰하시고 발빠른 대처를 해주셔야지 반려견, 보호자 모두가 행복한 생활이 가능하답니다.
제가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도움이 되셨긴 바라며 저는 다음에 더 알찬 소식으로 찾아뵐게요!
'강아지와 고양이 > 동물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슬개골탈구 증상과 치료에 대해 (0) | 2023.03.15 |
---|---|
강아지치매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2) | 2023.03.14 |
강아지치석관리 알려드리겠습니다 (1) | 2023.03.09 |
강아지차멀미 극복방법에 대해 (0) | 2023.03.07 |
강아지비만 원인과 관리방법에 대해서 (1) | 2023.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