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사료 어떤 걸 먹이시나요
안녕하세요 두마리 집사입니다!
오늘은 반려동물을 키우시는 분들에게 유익한 상식정보를 전해드리고자 하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강아지사료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반려동물을 키우시는 분들이 늘어나면서 관련된 시장도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반려동물 식품시장이 넓어지면서 다양한 종류의 간식과 사료들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고 하는데 무첨, 유기농, 휴먼 그레이드, 그레인프리, 오리젠, 닥터 독 등 이런 종류도 있었나..? 할 정도로 종류들이 너무나도 많이 있습니다.
건강하고 오래오래 함께하길 바라는 마음에 더 좋은 밥을 먹이고 싶은데 어떤 기준으로 골라야 하는지, 어떤 제품을 먹여야 하는지, 어떤 사료가 좋은 사료인지 궁금한 것들이 많으시죠?
개들의 나이와 건강상태에 따라 필요한 영양 성분이 다르기에 이 기준으로 강아지사료를 고르시는 것이 좋습니다.
대포적으로 퍼피, 어덜트, 시니어, 기능성 및 처방 사료 이렇게 4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하나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1. 퍼피사료(성장기-1개월~1살 미만)
1살 미만시기에 먹이는 밥으로 많은 열량과 단백질이 가득하여 어미개의 젖을 떼고, 자라나는 성장기 때 먹이면 좋은 사료라고 합니다.
성견용에 비해 칼로리와 단백질 함량이 높아 1살 이상의 성견들이 먹을 경우 비만이 될 위험이 높다고 하니 두 마리 이상 키우시는 견주님들은 주의해서 급여해주셔야 합니다.
2. 어덜트사료(성견-1살~7살)
성견이 되면 퍼피용이 아닌 일반 성견용 어덜트 사료로 성견에게 필요한 영양 성분을 채워주셔야 합니다.
그렇기에 성견이 되어서도 퍼피용을 먹인다면 높은 칼로리와 고단백으로 비만이 되고 필요한 영양소가 부족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3. 시니어사료(노견-7살~)
어덜트용과 시니어는 사실 큰 성분의 차이가 있지는 않지만 노령견이 신경 써야 하는 건강 상태를 알맞게 맞춰 나오는 편이기에 바꿔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4. 기능성 및 처방 사료
강아지의 건강 상태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음식이 있는데 이 기능성 처방 사료는 피부, 관절, 소화, 심장 등 다양한 기관에 도움이 되는 제품으로 많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건강 보조를 위한 기능성이 아닌 제대로 된 관리가 필요하다면 동물병원에 내원하여 수의사와 상담을 진행하고 난 후 처방 사료를 급여하시면 된답니다!
또한 점점 나이가 들수록 치아, 눈, 털 등 약해지는 부분이 아이들마다 상태가 다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는 밥을 먹지 않는다면 불편하고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우리 반려견에게 알맞은 시기에 맞게, 건강상태에 맞게 급여를 해주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렇게 강아지사료를 시기별로 알아보았는데 이제는 좋은 원료의 사료를 선택하는 법과 보관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처음 사료를 구매하실 때에는 살코기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선택하시면 좋은데 그 이유는 살코기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좋은 사료라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반대로 좋지 않은 사료는 어떤 것일까요?
바로 향신료나 첨가물이 들어간 제품이라고 합니다.
첨가물이 들어가 있는 상품은 좋은 특성의 원자재를 잘 살려내지 못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에 각종 질병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어서 질이 낮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제품으로 구매하였어도 보관 방법이 잘못되었다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최소한 한 달 이내로 먹을 수 있는 소량의 양만 구매하시거나 공기와 최대한 접촉되지 않도록 밀폐용기에 담아 서늘한 곳에 보관을 하는 것이 가장 신선하게 오래 먹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대용량으로 아무렇게나 보관을 한다면 영양가와 맛이 떨어져서 독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해 주세요!
특히 바쁜 직장인 분들은 집에 있는 시간이 적다 보니 잘 챙겨주지 못해 한번 뜯고 방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요즘에는 소량으로 딱 먹을 만큼 진공포장되어 있는 강아지사료도 많이 나오고 있으니 알맞은 제품으로 구매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견주님의 관심과 사랑으로 반려동물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기를 바라며 이번글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강아지와 고양이 > 동물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와고양이합사 알려드리겠습니다 (1) | 2023.03.02 |
---|---|
강아지입질 교육 (0) | 2023.02.25 |
강아지눈물자국 원인과 관리방법에 대해 (1) | 2023.02.17 |
강아지중성화수술 언제 해야 할까요 (1) | 2023.02.16 |
강아지산책 기본 상식 (1) | 2023.02.12 |
댓글